<폼나게 – Social Security Benefit> 미국 편

Home / 게시판 / 자산 & 세금 / <폼나게 – Social Security Benefit> 미국 편

  • 이 주제는 비어 있습니다.
  • 글쓴이
  • pomnage.com
    2025년 08월 06일 at 6:49 오전 #1521

    <폼나게 – Social Security Benefit>

    미국에서 은퇴를 하면 사회보장연금 Social Security Benefit이 주요 수입원이 됩니다.

    이에 관련해서는 Social Security Website 검색을 통해서 정확히 알아보시기를 권하며, 간단히 요약을 합니다.

    • 2025년 현재, 미국 은퇴자의 평균 월 수령액은 $1,976이고, 최고로 수령할 수 있는 금액은 월 $4,018로 나와 있습니다.
    • 100%를 수령할 수 있는 나이는 1959년까지 출생자는 66세 8개월이고, 1960년 이후 출생자는 67세부터입니다.
    • 개인의 사정에 따라서 62세부터 수령할 수도 있고, 70세까지 늦추어서 수령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이자”가 적용됩니다. 수령 나이보다 일찍 받으려면 받을 금액에서 이자를 제하고 받고, 늦게 받으면 이자를 더해서 받을 수 있습니다. 대략적으로, 62세부터 받으면 약 75% 월 금액을 수령하고, 65세부터는 93.3%를 수령하게 됩니다. 이에 대한 정확한 계산은 Social Security Website나, 전문가의 도움을 받기를 권합니다.

    Social Security Benefit의 계산

    • 미국에서 법적으로 Minimum으로 정한 연간 수입(2025년 현재: 개인 $25,000, 부부 $32,000)을 넘으면 Social Security Tax를 냅니다.
    • Social Security Tax Rate은 2025년 현재 연간 $176,100까지의 수입에 대하여 6.2%입니다.
    • Social Security Benefit을 받기 위해서는 40 credits를 얻어야 하는데, 매년 수입에서 Social Security Tax를 내면 4 credits를 받으므로, 최소 10년 동안 SS Tax를 내야 받을 수 있다는 계산이 됩니다.
    • 2025년 현재로 최고액의 SS Benefit 수령액은 70세부터 수령하면서 35년 동안 최소 $147,000의 연간 수입이 되었을 때, 월 $4,194을 받는 것입니다.

    언제부터 받는 것이 제일 좋은가?

    여기에 대한 정확한 답은 없습니다. 각 개인의 상황에 맞추어서 계산해서 결정하셔야 합니다.

    주의할 점은, Social Security Benefit도 “수입”으로 계산되어서, 연말에 세금 계산을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꼭 전문가를 통해서 상담을 받으시기를 권합니다.

    언젠가 Social Security Fund가 모자라서 못 받을 수도 있는가?

    미래의 일은 누구도 장담할 수 없지만, <폼나게.com>의 의견은 이렇습니다. 미국 정부는 국민 개인의 은퇴 후에 SS Benefit을 지불하기로 하고 SS Tax를 거두었습니다. 미국 정부 입장에서는 국민 개인에 빚을 진 것이고, 개인은 정부가 약속한 금액만큼 받을 권리가 있습니다.

    미국 정부는 어떤 방법을 강구해서라도 Social Security Benefit은 지불할 것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엄청난 사회적 혼란이 일어날 것입니다. 간단하게, 한국이나 미국이나, 이제 노년층의 투표 인구가 전체를 좌우할 수 있으니, 어느 정부도 SS Benefit을 연기조차 할 수는 없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Social Security Benefit과 Welfare

    Welfare는 미국 정부가 빈곤층 이하의 수입인 개인이나 가족을 돕는 제도입니다.

    여기서의 “빈곤층”은 2025년 현재로, Alaska와 Hawaii 주를 제외한 48개 주와 워싱턴 DC는 공통된 금액으로, 각 가정의 인원수에 따라서 금액이 다릅니다.

    Welfare에 대한 문의는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를 통해 확인하시거나 전문가와 상담하기를 권합니다.




  • You must be logged in to reply to this topic.